MY MENU

한일관계사학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STEP 01

    회원가입안내

  • STEP 02

    회원약관동의

  • STEP 03

    회원정보입력

  • STEP 04

    회원가입완료

제목

73. 일본인의 형성과 한반도 도래인 <세키네 히데유키 지음>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7.16
첨부파일0
조회수
394
내용

저자  : 세키네 히데유키[關根英行]

발행일 : 2020. 4. 29

 

 

책의 내용

 

이 책은 근대 이후 일본이 거쳤던 제국주의패전 그리고 부흥과정에서 제시된 일본인의 형성설 속에서 한반도 도래인이 어떤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배경에 어떤 인식이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연구자들 중에는 베일에 가려진 진실을 밝히려는 이도 있었지만 간무 천황과 같은 마음으로 연구한 이도 적지 않았다연구사를 훑어보면 진실을 밝히려는 자와 숨기려는 자가 숨바꼭질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그나마 진실을 엿볼수 있던 시기는 공교롭게도 일제강점기였다왜곡된 형태로나마 진실의 표출이 정치적으로 이용가치가 있었기 때문이다이제 도구로서의 일선동조론이 무용지물이 된 지 70년이 지났다. “일본인과 삼한인이 동종이었다라는 명제는 침략 이데올로기로만 간주되고 있으며 호시노와 기타도 일선동조론자로 알려져 있다고대 한일관계는 두 지역 간의 문화 교류’ 차원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한반도 도래인은 그 매개자에 지나지 않는다이제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에 혈연관계가 없어진지 오래이다.

혈연이란 공통의 선조를 가지고 있는 관계또는 가지고 있는 것으로 믿어지는 관계로 정의된다때로는 사회적 편견이나 족벌세습 등을 초래하는 원흉으로 간주되기도 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대감 구축이나 사회적혼란 완화라는 기능 때문에 민족통합과 국가 지탱을 위해 늘 강조되어 왔다국적 취득에 여전히 혈통주의를 채용하고 있는 나라가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위정자가 혈연이 지니고 있는 이러한 속성을 이용하지 않을 리는 만무하다. ‘한국병탄’ 때도 그랬고 여태껏 호소되어 온 남북통일도 그렇고 최근 거론되고 있는 해외동포 정책도 그럴 것이다.

그렇다면 한반도 도래인의 일본 이주와 그로 인한 한국인과 일본인 사이의 혈연관계가 밝혀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그것은 단순히 두 국민의 유대감 조성에만 그치지 않고 근대 일본이 공들여 만든 일본인의 정체성을 뿌리째 흔들어 이와 관련된 이슈가 파생될 것이 예견된다가령 일본인과 재일교포의 차이를 혈통이 아닌 이주 시기에서 찾게 되고 차별 구조는 기득권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하게 될 것이다그리고 일본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기능해온 천황의 출처 규명이 도마 위에 오르게 될 것이다만세일계(万世一系)의 혈통을 강조해온 만큼 황실과 일본인뿐만 아니라 한국인과의 혈연관계에 대한 답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과연 일본의 정계와 학계가 이를 달갑게 받아들일지 의문이다과거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을 부정하며 연구의 궤도를 크게 우회시킨 학자 대부분이 천황옹호주의자였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현재도 근대 일본을 지탱했던천황제가 형태와 이념을 바꾸면서 존속하며 보수적 정치사상을 지탱하고 있다.

고대 한국인이 일본열도로 이주하여 선주민과 혼혈함으로써 일본인이형성되었다라는 간결한 명제가 어떤 정치적 메시지로 활용될지는 미지수이다과거처럼 황민화(皇民化)정책에 활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만이 분명하고악화된 한일관계의 특효약이 될지 범()한민족 세계관 구축에 활용될지 알 수 없다다만 연구자는 사실을 드러내는 것에 전념하고 당위성을 운운하는 것은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차 례

 

책을 내면서

 

서 장

1. 연구의 취지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검토 ·

4. 책의 구성

 

1부 착종된 근대 이데올로기와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

 

1장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의 추이 ·

1. 머리말

2. 에도시대 고증학자에 의한 도래설

3. 메이지?다이쇼시대의 도래설

4. ‘15년전쟁기의 한반도 도래설

5. 2차 세계대전 후의 도래설

6.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의 부활

7. 맺음말

 

2장 한국병탄 이전에 제창된 일선동조론

1. 머리말

2. 에도시대의 한반도 도래인 이주설

3. 메이지?다이쇼시대의 일선동조론

4. 일선동조론의 학술성과 이데올로기

5. 맺음말

 

3장 쓰다 소키치의 황국사관과 한반도 도래인

1. 머리말

2. 황국사관으로서의 쓰다사학

3. 방법론으로서의 신화 이해의 타당성

4. 숨겨진 목적과 제국주의 이데올로기

5. 한반도 도래인의 흔적 말소

6. 맺음말

 

4장 한반도 도래인을 부정한 황국사관?우생학 인류학자

1. 머리말

2.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을 부정한 학설

3. 도래설 부정론의 사상적 배경

4. 도래설 부정론에 대한 학계의 평가

5. 맺음말

 

5장 경성학파 인류학에 의한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

1. 머리말

2. 경성학파 인류학의 학설과 학통

3. 귀환 후의 재건을 향한 태동과 좌절

4. 경성학파 인류학의 학설에 대한 평가

5. 맺음말

 

2부 전후 한반도 도래인을 재조명한 인류학자와 그 한계

 

6장 가나세키 다케오의 한반도 도래인 재조명

1. 머리말

2. 한반도 도래인의 재조명

3. 우생학 주의자로서의 의혹

4. 한반도 도래인의 인정과 범인류적 인본주의

5. 맺음말

 

7장 하니하라 가즈로의 대규모 도래설

1. 머리말

2. 한반도 도래인의 대규모 도래설

3. 하니하라의 한반도 회피 태도

4. 한국을 회피하는 인식 문제

5. 맺음말

 

8장 현대 자연인류학자의 한반도 도래인 인식

1. 머리말

2. 조사 대상자와 연구방법

3. 학설 속의 한반도 도래인의 위상

4. 연구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자각

5. 한반도 도래인을 회피하려는 인식

6. 맺음말

 

3부 전후 고고학자의 한반도 도래인 연구와 그 한계

 

9장 고고학자에 의한 한반도 도래인 인식

1. 머리말

2. 인류학자의 도래설에 대한 부정적 평가

3. 한반도 도래설을 부정하려는 인식

4. 고고학자에 의해 계승된 도리이의 학통

5. 맺음말

 

10장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전시 속의 한반도 도래인

1. 머리말

2. 고고학에 의한 문화 교류를 중시한 리뉴얼 작업

3. 야요이?고훈시대 전시의 주안점

4. 야요이시대의 도래인 전시 내용

5. 고훈시대의 도래인 전시 내용

6. 맺음말

 

11장 에가미 나미오의 일본민족과 일본국가 형성설

1. 머리말 ·

2. 에가미의 문명사관 ·

3. 중국 중남부에서 찾은 일본민족의 기원

4. 한반도 북쪽 너머에서 찾은 천황의 기원

5. 한반도 도래인을 회피하는 인식 문제

6. 맺음말

 

4부 전후 민족학자들의 도래인에 대한 시각

 

12장 오카 마사오의 일본민족문화 형성설

1. 머리말

2. 정치적 행보와 연구 목적 및 방법의 추이

3. 한반도 도래인의 위상 격하

4. 일선동조론을 회피하는 인식

5. 맺음말

 

13장 사사키 고메이의 일본문화 형성설

1. 머리말

2. 도래인을 외면한 일본문화 형성설

3. 사사키 설의 배경생태학과 비교민족학

4. 한반도 도래인의 과소평가

5. 맺음말

 

14장 오바야시 다료의 한일 왕권신화 계통론

1. 머리말

2. 학풍과 신화연구

3. 오바야시가 밝힌 왕권신화의 유사성

4. 시대별 유사성 해석의 추이

5. 천황의 한반도 도래설을 기피하는 인식

6. 맺음말

 

종장 한반도 도래인에서 고대 한국인으로

1. 머리말

2. 상반된 학통

3. 왜곡된 인식

4. 왜곡된 학설 유형

5. 새로운 접근과 제안

 

초출일람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