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한일관계사학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STEP 01

    회원가입안내

  • STEP 02

    회원약관동의

  • STEP 03

    회원정보입력

  • STEP 04

    회원가입완료

제목

75. 근대 변혁기 한일관계사 연구<현명철 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4.20
첨부파일0
조회수
499
내용

저자 : 현명철

발행일 : 2021.01.29

 

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일본의 개항과 쓰시마

제1장 막말 정치사와 한일관계관의 변화- 성신지교(誠信之交)에서 구폐(舊弊)로 -

Ⅰ. 머리말
Ⅱ. 막부의 개항과 쓰시마
Ⅲ. 일본의 정쟁과 쓰시마
Ⅳ. 「구폐」로 간주된 조선후기 한일관계

제2장 1861년 쓰시마번의 이봉(移封)운동

Ⅰ. 머리말
Ⅱ. 이봉론(移封論)의 대두
Ⅲ. 오후나코시[大船越] 사건과 이봉(移封)운동의 전개
Ⅳ. 이봉(移封)운동의 성숙과 그 결말
Ⅴ. 맺음말

제3장 쓰시마번「양이정권」의 성립배경과 과정

Ⅰ. 문제의 소재
Ⅱ. 쓰시마번 양이정권(攘夷政權) 성립의 배경
Ⅲ. 동맹의 과정 : 桂小五郞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Ⅳ. 맺음말

제4장 막부말기의 「정한론(征韓論)」과 쓰시마

Ⅰ. 머리말
Ⅱ. 쓰시마번 양이정권의 활동
Ⅲ. 쓰시마번의 원조 획득과 이른바 「정한론 원서」
Ⅳ. 원조 중단과 쓰시마번 내부의 혼란
Ⅴ. 맺음말

제5장 막말-메이지 초기 쓰시마번 처리에 대한 고찰

Ⅰ. 머리말
Ⅱ. 쓰시마번 처리 문제의 대두
Ⅲ. 양이 운동의 성장과 쓰시마번 처리 문제의 변화
Ⅳ. 요시노부[慶喜] 정권하 쓰시마번 처리 문제
Ⅴ. 메이지[明治] 정부의 성립과 쓰시마번 처리 문제
Ⅵ. 맺음말

제2부 메이지 정권과 왜관

제1장 쓰시마번 소멸 과정과 한일관계사

Ⅰ. 머리말
Ⅱ. 막말-메이지초의 쓰시마번
Ⅲ. 메이지(明治)초기의 쓰시마번
Ⅳ. 맺음말

제2장 1872년 일본 화륜선의 왜관 입항

Ⅰ. 머리말
Ⅱ. 동래-부산 지역의 해안 방어와 군사 편제
Ⅲ. 일본 선박의 왜관 입항과 문정
Ⅳ. 화륜선의 입항(入港)에 대한 잘못된 이해
Ⅴ. 맺음말

제3장 기유약조 체제 붕괴 과정에 대하여

Ⅰ. 머리말
Ⅱ. 왕정복고를 알리는 대마주 관리들의 교섭과 동래부
Ⅲ. 일본 외무성의 개입과 동래부
Ⅳ. 하나부사의 도한과 기유약조의 붕괴
Ⅴ. 맺음말

제4장 메이지 초기 송환 표류민 사례 연구

Ⅰ. 머리말
Ⅱ. 메이지 초기의 송환 표류민 사례
Ⅲ. 사례로 보는 표류민 송환의 변화
Ⅳ. 송환 표류민 문정을 통해 확인되는 사항
Ⅴ. 맺음말

제5장 田保橋潔의 『근대일선관계의 연구』 무엇이 잘못되었을까

Ⅰ. 머리말
Ⅱ. 제6절 「일본의 조정, 八戶順叔의 征韓說」에 대하여(131-156쪽)
Ⅲ. 제8절 「대수대차사의 파견」(174-190쪽)
Ⅳ. 제9절 「대수대차사의 거부」(191-205쪽)
Ⅴ. 제12절 「초량 왜관의 접수」
Ⅵ. 제13절 외무성 시찰원의 파견, 통사 우라세의 시안
Ⅶ. 제14절 「외무성 파견원의 직접 교섭」(257-272쪽)
Ⅷ. 제15절 「일한교섭의 정돈」
Ⅸ. 제16절 「차사 相良의 동래부 난입」
Ⅹ. 맺음말

제3부 개국을 향한 길

제1장 기유약조 붕괴 이후의 倭館

Ⅰ. 머리말
Ⅱ. 대마도인 퇴거 과정
Ⅲ. 동래부의 왜관 관리와 군사훈련
Ⅳ. 표류민 송환의 변화
Ⅴ. 무역의 변화
Ⅵ. 맺음말

제2장 개항기 한일관계사의 재조명

Ⅰ. 머리말
Ⅱ. 만들어진 한일관계사의 비판적 검토
Ⅲ. 맺음말

제3장 조일수호조규의 재검토

Ⅰ. 머리말
Ⅱ. 조일수호조규 체결의 배경
Ⅲ. 체결 과정
Ⅳ. 내용
Ⅴ. 맺음말

제4장 제1차 수신사행의 외교사적 위치

Ⅰ. 머리말
Ⅱ. 수신사 파견 과정과 성격
Ⅲ. 수신사의 활동
Ⅳ. 맺음말

제5장 새로운 관계의 시작 - 조일수호조규부록과 무역규칙 -

Ⅰ. 머리말
Ⅱ. 배경
Ⅲ. 체결과정
Ⅳ. 내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